본문바로가기


회사소개

LNB 메뉴
  • 회사개요
  • 경영진 Message
  • LSpartnership
  • 기업 역사관
    • 기업 역사관
    • 카퍼맨 기념관
  • 비전
    • 비전체계
    • 핵심가치
  • Cl 소개
  • 경영성과
    • 경영실적
    • 경영공시
  • 글로벌네트워크
  • 출자회사

기업 역사관

HOME회사소개기업 역사관

1250℃의 열정, 60만톤의 땀, 99.99%의 노력으로 달려왔습니다. 정성으로 쌓아온 80년 미래를 열어갈 100년 80주년 사사 저장하기

LS MnM 은 위대한 100년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합니다.
2016년에는 新 비전 ‘Global No.1 Smelter’를 선포하고, 제련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20. 06 '비철금속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2020. 06 '비철금속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스마트 팩토리 추진 등 국가 기간산업 발전 기여해 2년 연속 대통령 표창 수상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20. 05 직급체계 혁신

2020. 05 직급체계 혁신

위계 중심 직급체계를 역할 중심 직급과 호칭으로 개편. 사원, 대리, 과장, 차장을 어쏘시엇(associate)과 매니저(manager)로 혁신.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20. 04 LSNzine, 머큐리 어워즈 최우수상 수상

2020. 04 LSNzine, 머큐리 어워즈 최우수상 수상

사보 LSNzine, 세계 최대 권위 홍보물 경연인 '머큐리 어워즈'에서 최우수상(Grand Winner) 수상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9. 10 역대 최장기/최대규모 광물계약

2019. 10 역대 최장기/최대규모 광물계약

캐나다의 글로벌 광산기업 'FQM'과 역대 최대규모 광물계약 체결(15년/180만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9. 09 역대 최장기 광물계약

2019.09 역대 최장기 광물계약

글로벌 자원개발기업 '테크 리소시즈'와 역대 최장기 광물계약 체결(10년/1백만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8. 11 '용산시대' 개막

2018. 11 '용산시대' 개막

서울사무소가 LS용산타워로 이전하며, 함께 입주한 LS그룹 계열사들과의 다양한 시너지 창출이 기대됩니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8. 07 스마트 팩토리 'ODS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킥 오프

2018. 07  스마트 팩토리 'ODS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킥 오프

제련사업에서의 압도적 경쟁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ODS(Onsan Digiter Smelter)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킥 오프를 실시했습니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7. 08 무분규 30주년 달성

2017. 08  무분규 30주년 달성

화합을 위해 소통하고 혁신과 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동문화를 조성하여 국내 기업 중 다섯번째로 '30년 무분규'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6. 11 창사 80주년 신 비전 선포, ‘Global No.1 Smelter’

2016. 11  창사 80주년 신 비전 선포, ‘Global No.1 Smelter’

지난 80년의 역사를 돌아보며 'Global No.1 Smelter' 신 비전 선포와 함께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습니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6. 01 Ag Paste 한화큐셀에 첫 납품 (500kg)

2016. 01  Ag Paste 한화큐셀에 첫 납품 (500kg)

세계 최대 태양광셀 생산업체인 한화큐셀에 LS MnM 의 Ag Paste를 첫 납품했습니다. Ag Paste는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전극의 재료 등으로 널리 쓰이는 소재입니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5.09 사택 어린이집 ‘금은동’어린이집 개원

2015. 09  사택 어린이집 ‘금은동’어린이집 개원

2015년 9월 LS MnM 은 사택단지 내에 직원 자녀 보육시설인 ‘금은동 어린이집’을 개원했습니다. 금은동 어린이집은 당사의 핵심 제품인 구리, 금, 은에서 이름을 따 왔습니다.

현재-2015

100년 기업의 꿈을 향하여

2015.05 PRM 귀금속회수공장 착공식

2015.05 PRM 귀금속회수공장 착공식

2015년 5월, LS MnM 과 세계 최대 구리 생산기업인 칠레의 코델코가 합작으로 설립한 PRM의 귀금속 회수공장의 착공식이 칠레에서 열렸습니다.

2022. 09
사명변경: LS-Nikko동제련 → LS MnM
지배구조 변경 : ㈜LS 100% 지분 확보
2021. 12
세계 동산업계 ESG 인증 'Copper Mark' 취득(아시아 제련기업 최초)
2021. 08
ESG경영 선언
2020. 06
'비철금속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2020. 05
직급체계 혁신
2020. 04
사내보 'LSNzine', 세계 3대 홍보물 경연 '머큐리 어워즈'에서 최우수상 수상
2019. 10
역대 최대규모/최장기 동광석 구매계약 체결: FQM(캐나다 자원개발기업). 180만톤/15년
2019. 09
역대 최장기 동광석 구매계약 체결: 테크 리소시즈(글로벌 자원개발기업). 100만톤/15년
2018. 11
서울사무소 이전: 강남구 아셈타워 → 용산구 LS용산타워
2018. 07
스마트 팩토리 도입 사업 'ODS 프로젝트(Project Onsan Digital Smelter)' Kick-off
2017. 08
무분규 30주년 달성
2017. 08
코브레 파나마 프로젝트 매각
2016. 11
창사 80주년 신 비전 선포, 'Global No.1 Smelter'
2016. 04
멕시코 Boleo Project 첫 Cobalt 제품 생산
2016. 01
Ag Paste 한화큐셀에 첫 납품 (500kg)
2015. 12
Ag Paste 양산공장 준공
2015. 12
희소금속 Bistin 공장 준공
2015. 09
사택 어린이집 ‘금은동’어린이집 개원
2015. 05
PRM 귀금속회수공장 착공식

1999년 9월, LG와 Japan Korea Joint Smelting (JKJS)이 합자한 'LG-Nikko동제련'이 출범하여, 2005년에는 LS그룹으로 편입되어 'LS-Nikko동제련'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2010년에는 새로운 비전인 2020 20 2를 선포하고, 금속소재산업 에서의 혁신적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고자 새로이 도약하고 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4.07 CODELCO와 귀금속 회수공장 합작법인 출범

2014.07 CODELCO와 귀금속 회수공장 합작법인 출범

LS MnM 이 세계 최대 구리 생산기업인 칠레의 코멜코와 귀금속 회수공상 건설·운영에 관하 협약을 맻고 합작 법인을 설립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3. 03 제 47회 납세자의 날 은탑산업훈장 수상

2012. 03  제 47회 납세자의 날 은탑산업훈장 수상

제47회 납세자의 날에서, LS MnM 은 관세 등의 세금 성실납부와 연간 36억 3천만 달러의 수출로 국가 재정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은탑산업 훈장을 수상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2. 12 6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2. 12 6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2년 12월, 제 48회 무역의날 기념식에서 LS MnM 은 6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2. 06 미니골드바 LS Gold Bar 출시

2012. 06 미니골드바 LS Gold Bar 출시

2012년 6월, LS MnM 의 고유브랜드인 미니골드바 ‘LS Gold Bar’가 출시되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1. 12 5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1. 12 5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1년 12월 12일, 제 47회 무역의날 기념식에서 LS-mnm 동제련은 5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1. 06 LS-mnm 신형부두 준공

2011. 06  LS-mnm 신형부두 준공

2011년 6월 10일, 울산 울주군 온산항의 LS-mnm 신항부두 준공 기념식을 개최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1. 06 전기통 4만톤 증설투자

2011. 06  전기통 4만톤 증설투자

LS MnM 은 2010년 9월부터 120억 규모의 증설작업에 착수하여 연간 60만톤의 전기동 생산 능력을 확보했습니다.
(전련 56만톤/y→60만톤/y)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1. 05 GRM 준공

2011. 05  GRM 준공

LS MnM 은 2011년 5월, 충북 단양 매포 자원순환 농공단지에서 국내 최대 자원순환 자회사 ㈜GRM공장 준공식을 가졌습니다. GRM은 전기, 전자, 반도체, 자동차업계에서 나온 동 스크랩(동 부스러기) 같은 순환자원을 녹여 구리, 금, 은 등을 회수를 전문으로 합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0. 12 2020 20 2 전략선포식

2010. 12  2020 20 2 전략선포식

2010년 12월, 2020년 매출 20조 세전이익 2조원을 목표로하여, 금속산업에서의 혁신적 글로벌 리더로의 성장을 다짐하는 전략선포식이 개최되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0. 11 4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0. 11  4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0년 11월 30일 제46회 무역의 날, LS MnM 은 40억불 수출 달성의 공적을 인정받아 4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0. 09 ㈜화창 인수

2010. 09  ㈜화창 인수

LS MnM 은 메탈리싸이클링 사업 강화의 일환으로, 2010년 9월 연(Pb) 재활용 전문기업인 ㈜화창을 인수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10. 01 자원기술연구소 출범 및 기술연구소 명칭 변경

2010. 01  자원기술연구소 출범 및 기술연구소 명칭 변경

2010년 1월, 종합 리싸이클링 원료 처리와 전기, 전자 소재 리싸이클링 분야를 연구하는 자원기술연구소가 출범했습니다. (충남 아산 소재, 2012년 1월 판교 이전 예정) 또한 기술연구소는 금속소재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9. 11 20억 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09. 11  20억 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09년 11월 30일 제45회 무역의 날, LS MnM 은 20억불 수출 달성의 공적을 인정받아 2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9. 11 ERI 지분 인수

2009. 11  ERI 지분 인수

LS MnM 은 2009년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폐 인쇄회로기판(PCB) 수집업체인 ERI사의 지분 10%를 인수했습니다. (2011년 현재 지분율 17.9%)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9. 03 리싸이텍 코리아 인수

2009. 03  리싸이텍 코리아 인수

LS MnM 은 2009년 3월, 폐가전제품을 수집하여 제련용 원료로 가공하는 기업인 리싸이텍 코리아를 인수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8. 12 토리컴 인수

2009. 03  리싸이텍 코리아 인수

LS MnM 은 2008년 12월, Gold, Silver, Platinum, Indium, Palladium 등 회수된 자원의 2차 가공을 통해 금속자원을 재활용하는 기업인 토리컴을 인수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8. 04 전기동 4만톤 증설 투자

2008. 04  전기동 4만톤 증설 투자

LS MnM 은 2007년 1월부터 147억원 규모의 증설작업에 착수하여 연간 56만톤의 전기동 생산 능력을 확보했습니다. (전련 52만톤/y→56만톤/y)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8. 03 LS MnM ㈜ 기술연구소 출범

2008. 03  LS MnM ㈜ 기술연구소 출범

2008년 3월, 미래사회 핵심소재 제품화 연구의 메카인 LS MnM 기술연구소가 출범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5. 09 중장기 성장 전략 선포식

2005. 09  중장기 성장 전략 선포식

2005년 9월, LS MnM 은 4대 사업과제 및 대 역량과제를 확정하여 2015년까지 세계 동제련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플레이어로 성장한다는 중장기 성장전략을 선포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5. 03 LS그룹 편입
(LS-Nikko동제련 사명 변경)

2005. 03  LS그룹 편입(LS MnM  사명 변경)

LG전선그룹이 LG그룹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LS그룹으로 출발하면서 LG-Nikko동제련 주식회사(LG-Nikko동제련 Copper Inc.)의 사명도 LS-Nikko동제련 주식회사(LS-Nikko Copper Inc.)로 공식변경되었습니다.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2. 10 전기동 5만톤 증설 투자

2002. 10  전기동 5만톤 증설 투자

LG LS MnM 은 2000년부터 2002년 10월 말까지 약 540억원을 투자해 동제련 생산능력의 확대를 추진했습니다. (제련 42만톤/y, 전련 45만톤/y)

2013-1999

세계 최고를 향한 도전

2000. 01 온산 제2공장 전기동
LME Grade A 등록

2000. 01  온산 제2공장 전기동 LME Grade A 등록

LG LS MnM 은 온산 제2공장의 성공적인 가동으로 2000년 1월 온산 2공장 전기동에 대한 "LME Grade A"를 획득했습니다.

2014.07
CODELCO와 귀금속 회수공장 합작법인 출범
2013.03
제 47회 납세자의 날 은탑산업훈장 수상
2012.12
6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2.06
미니골드바 LS Gold Bar 출시
2011.12
5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1.06
LS MnM 신항부두 준공
전기동 4만톤 증설 투자
2011.05
GRM 준공
2010.12
2020 20 2 전략선포식
2010.12
경제성장을 이끈 100대 기술 선정
2010.01
자원기술연구소 출범 및 기술연구소 명칭 변경
2010.11
40억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10.09
㈜화창 인수
2009.11
20억 달러 수출의 탑 수상
ERI 지분 인수
2009.03
리싸이텍 코리아 인수
2008.12
토리컴 인수
2008.04
전기동 4만톤 증설 투자
2008.03
LS MnM ㈜ 기술연구소 출범
2005.09
중장기 성장 전략 선포식
2005.03
LS그룹 편입 (LS-Nikko동제련 사명 변경)
2002.10
전기동 5만톤 증설 투자
2000.01
온산 제2공장 전기동 LME Grade A 등록
1999.09
합작법인 LG-Nikko동제련 주식회사 출범

1982년 한국광업제련㈜과 온산동제련㈜이 합병하고 LG그룹에 편입되면서 우리나라 비철제련 산업의 도약을 위한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되었습니다. 이후 사업 영역 확대와 각종 경영 혁신을 통해 내부 역량을 강화했으며, 1995년에는 사명을 LG금속으로 변경하였습니다.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98. 04 온산 제2공장 증설 준공

1998. 04 온산 제2공장 증설 준공

온산 제2공장은 총 2,426억원을 투입해 1998년 4월 25일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제 2공장의 본격 가동으로 LG금속의 전기동 생산량은 종전 22만톤에서 38만톤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제련 35만톤/y, 전련 38만톤/y)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96. 09 온산 제2공장 증설 기공

1998. 09 온산 제2공장 증설 기공

LG금속은 1995년 LG그룹으로부터 동제련 증설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승인을 받았으며, 1997년 말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었습니다.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95. 03 사명 변경(주식회사 LG금속)

1995. 03 사명 변경(주식회사 LG금속)

럭키금성그룹이 그룹 명칭 및 심벌마크를 LG로 변경함에 따라, 럭키금속도 '주식회사 LG금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1995년 3월 1일)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90. 10 럭키금속 기술연구소 준공

1990. 10 럭키금속 기술연구소 준공

1989년 6월에 착공한 럭키금속 기술연구소가 1990년 10월 26일, 지하1층, 지상4층, 연건평 2,881평 규모로 출범했습니다.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88. 12 전기동 생산 능력 증대

1988. 12 전기동 생산 능력 증대

럭키금속은 전기동 증설 작업을 추진해 연 10만톤이던 전기동 생산능력을 15만톤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제련 14만톤/y, 전련 15만톤/y)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88. 07 사명 변경 (주식회사 럭키금속)

1988. 07 사명 변경 (주식회사 럭키금속)

한국광업제련은 과감한 혁신전략의 일환으로 1988년 7월 1일 사명을 '주식회사 럭키금속(Lucky Metals Corp.'으로 변경했습니다.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82. 12 럭키그룹 편입

1982. 12 사명 럭키그룹 편입

합병을 통해 국내 최대 비철제련기업으로 성장한 한국광업제련은 1982년 12월, 럭키그룹의 일원으로 새롭게 출발 했습니다.

1998-1982

도전과 혁식으로 일군 최고의 명성

1982. 07 한국광업제련㈜와
온산동제련소㈜의 합병

1982. 07 한국광업제련㈜와 온산동제련소㈜의 합병

한국광업제련은 1982년 7월 31일 온산동제련소 일체를 흡수∙합병하여 국내 동제련 사업 일원화를 실현했습니다. 양대 동제련 회사의 통합으로 한국광업제련은 자산규모 2,965억 7천만원, 종업원 1,595명의 대규모 회사로 성장했습니다.

1998.04
온산 제2공장 증설 준공
1996.09
온산 제2공장 증설 기공
1995.03
사명 변경 (주식회사 LG금속)
1990.10
럭키금속 기술연구소 준공
1988.12
전기동 생산 능력 증대
1988.07
사명 변경 (주식회사 럭키금속)
1982.12
럭키그룹 편입
1982.07
한국광업제련㈜와 온산동제련소㈜의 합병

1936년 설립 당시 연간 1천 5백톤에 불과하던 장항제련소의 생산규모는 1970년대 중반 들어 5만톤까지 확대되었습니다. 한편, 중화학 공업이 국가 산업구조의 중심이 되면서 1979년 국내 최초로 연간 8만톤 규모의 자용로 설비를 갖춘 대단위 동제련소인 온산제련소를 설립하였습니다.
 

1981-1971

도약을 위한 잠재력 배양

1979. 10 온산동제련소 준공

1979. 10 온산동제련소 준공

건설공사가 착공된 지 약 3년만인 1979년 10월, 온산동제련소㈜는 아시아 최초로 자용로 설비를 갖춘 전기동 연간 생산 8만톤 규모의 동제련소를 준공했습니다.

1981-1971

도약을 위한 잠재력 배양

1975. 08 전련 제2공장 가동

1975. 08  전련 제2공장 가동

한국광업제련은 1972년 9월 제 1차 시설확장 사업을 추진하여 1975년 8월 전련 제2공장을 가동하였고, 월 2,000톤의 전기동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1981-1971

도약을 위한 잠재력 배양

1971. 06 한국광업제련주식회사로 민영화

1971. 06  한국광업제련주식회사로 민영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늘어나는 동(銅)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한국광업제련공사는 전기동 증산 5개년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광업제련공사는 민영화를 통해 경영권을 럭키그룹 등에 양도했고, 사명은 한국광업제련주식회사로 변경되었습니다

1979.10
온산동제련소 준공
1975.08
전련 제2공장 가동
1971.06
한국광업제련주식회사로 민영화

1936년 장항제련소 용광로가 가동을 시작하면서 우리나라 비철제련 산업의 서막이 올랐습니다. 당시 조선의 3대 건식 제련 시설 중 하나였던 장항제련소는 해방 이후 본격적인 증설 및 설비 보완 작업을 거쳐 국내 중화학 공업의 핵심 분야인 비철제련 산업의 메카로 거듭났습니다.
 

1970-1936

한반도 비철제련 산업의 태동

1964. 09 연(Pb)제련공장 준공

1964. 09 연(Pb)제련공장 준공

국영화 이후 수립된 5개년 사업계획에 따라 연(Pb)제련공장이 1964년 9월에 준공되었습니다.

1970-1936

한반도 비철제련 산업의 태동

1964. 06 청화공장 준공

1975. 08  전련 제2공장 가동

국영화 이후 수립된 5개년 사업계획에 따라 청화공장이 1964년 6월에 준공되었습니다.

1970-1936

한반도 비철제련 산업의 태동

1962. 09 한국광업제련공사로 국영화

1962. 09  한국광업제련공사로 국영화

1951년 5∙16 직후에 설치된 국가재건최고위원회는 장항제련소의 운영합리화 방안을 모색하여 국가에서 전액 출자하여 공사화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한국광업제련공사'로 국영화했습니다.

1970-1936

한반도 비철제련 산업의 태동

1936. 06 조선제련주식회사 창설

1936. 06  조선제련주식회사 창설

조선제련㈜의 창립은 대한민국 동제련 산업의 불씨를 지폈습니다.
조선제련은 남한지역 유일의 국내 최대 건식 제련공장인 장항제련소 건설계획을 세우고, 1935년 2월 14일 충남 서천군 장항 현지에 제련소 건설을 위한 토목공사에 착공, 1936년 6월 3일 준공식을 가졌습니다.

1964.09
연(Pb)제련공장 준공
1964.06
청화공장 준공
1962.09
한국광업제련공사로 국영화
1936.06
조선제련주식회사 창설